상층·지상 연계: 850hPa~지상 풍향각·풍속비로 밀도비까지 역산한다

지구과학Ⅱ › Sketch(스케치) │ 문제 상황의 직관적 구현 A › 02 상층·지상 연계: 850hPa~지상 풍향각·풍속비로 밀도비까지 역산한다 상층 지균풍과 지상풍 각이 90°, 속도 3배 조건. 등치선 간격 차로 기압경도력을 비교하고, 연직 정역학으로 평균 밀도를 구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…
지구과학Ⅱ › Sketch(스케치) │ 문제 상황의 직관적 구현 A › 02 상층·지상 연계: 850hPa~지상 풍향각·풍속비로 밀도비까지 역산한다 상층 지균풍과 지상풍 각이 90°, 속도 3배 조건. 등치선 간격 차로 기압경도력을 비교하고, 연직 정역학으로 평균 밀도를 구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…
지구과학Ⅱ › Sketch(스케치) │ 문제 상황의 직관적 구현 A › 01 새벽 하늘: 동일 고도 행성/별의 방위·이각 변화를 하루 뒤와 비교한다 다음날 이각 변화는 지구 공전·자전 효과 합으로 결정된다. 방위·고도 관계에서 A,B의 고도 차 증감과 P(회합주기) 경향을 판정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B › 04 산넘김 경로 다름: 동일 최종 Td 조건에서 LCL·정상온도·초기조건을 역산한다 A,B의 초기 Td/경로가 달라도 최종 Td가 같아지려면 가열/냉각 경로가 달라야 한다.A의 LCL 수치와 B의 초기 Td를 역산해 정상 온도 비교를 마무리한다.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B › 03 단열선도 비교: 같은 고도에서 RH, Td, ΔTd_before–after를 크기 비교한다 선도에서 각 공기의 실제 온도선과 이슬점선을 읽는다. 고도 1 km에서 상대습도와 정상의 이슬점을 비교하고, 넘기 전후의 Td 차이를 평가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B › 02 성간소광: 필터별 A_λ 차이로 거리지수 변화량·색초과를 연결한다 B필터가 V보다 소광이 커서 μ 증가 폭이 크다. μ_B−μ_V=E(B−V)이고, 잘못 보정하면 추정거리 R이 지수법칙으로 달라진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 순서대로 전개한다.식 변형·정리·대입·결론의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B › 01 쌍성: m r = 상수, P 동일 조건으로 각 성분의 v와 질량 차를 비교한다 A,C의 주기가 같으면 a∝(M_total)^(1/3)로 같고, 각별의 반지름·질량 곱이 동일해야 한다. 표의 r과 M으로 속도비와 (x−y) 부등식을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A › 04 호수 수증기 보급 포함: 첫 산 후 포화량 보정→두 번째 산에서 LCL 재계산 A′ 단계에서 등온 가습이면 이슬점만 상승한다. 증가한 이슬점으로 LCL이 낮아지고 두 번째 산에서의 응결 고도·최종 온도를 재산정한다.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A › 03 행성 근일점/원일점 효과: 합·충과 시지름 변화를 시간축에 매핑한다 합에서는 내행성 시지름↑, 외행성 시지름↓가 일반적이다. 표의 값과 도식(㉠) 이동을 연결해 어느 행성인지와 간격 비교를 판정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 순서대로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A › 02 θ_e(건조단열가온온도) 프로파일로 안정/역전 구간과 기온 비교를 판정한다 주어진 θ(건단열 하강 온도) 곡선에서 실제 기온과 비교해 안정 여부를 판정한다. 고도 2~7km 구간의 안정/역전, 지역 간 기온 크기를 읽는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…
지구과학Ⅱ › Unknown(미지) │ 예측 밖의 변수 A › 01 두 산 연속 통과: LCL·감률을 단계별로 적용해 온도·이슬점 차를 산출한다 각 산의 정상 높이와 표의 이슬점으로 LCL을 구하고, 건/습 단열 구간별 온도 변화를 합산한다. 전후 이슬점 차와 온도 차를 비교한다.…