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NU
Avatar photo

CSM17

문제공장이 아닌, 평가원 구조를 설계하는 출제 스튜디오

케플러 회전 가정: θ=30°에서 v_los→R별 v 비교로 영역별 속도를 판정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B  ›  04 케플러 회전 가정: θ=30°에서 v_los→R별 v 비교로 영역별 속도를 판정한다 Ⅰ~Ⅲ에서 ‘0’이 뜨는 조합을 먼저 잡아 단계 매칭을 한다.탄소수 보존과 탈탄산 횟수로 CO2를 고정하고, 환원당 수로 NADH·FADH2 비를 정리한다. 정석(derivation)…

위도 60° 지형류: 상·하층 반대 흐름, 유속비는 ρ차로 결정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B  ›  03 위도 60° 지형류: 상·하층 반대 흐름, 유속비는 ρ차로 결정한다 Ⅰ~Ⅲ에서 ‘0’이 뜨는 조합을 먼저 잡아 단계 매칭을 한다.탄소수 보존과 탈탄산 횟수로 CO2를 고정하고, 환원당 수로 NADH·FADH2 비를 정리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…

푄(Foehn): 건→습→건 단열 감률로 A,B,C 온도와 LCL을 비교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B  ›  02 푄(Foehn): 건→습→건 단열 감률로 A,B,C 온도와 LCL을 비교한다 Ⅰ~Ⅲ에서 ‘0’이 뜨는 조합을 먼저 잡아 단계 매칭을 한다.탄소수 보존과 탈탄산 횟수로 CO2를 고정하고, 환원당 수로 NADH·FADH2 비를 정리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…

양층 해수·지형류: 경계면 경사·ρ차로 유속·풍계열을 판정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B  ›  01 양층 해수·지형류: 경계면 경사·ρ차로 유속·풍계열을 판정한다 지형류 평형에서 f k×v = −(1/ρ)∇p. 등압면/경계면 경사와 북반구 규칙으로 흐름 방향을 정한다. 수압은 깊이적분으로 비교하고 C점 유속은 경도력으로 산출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…

상층 대기: 지균/경도풍 구분 후 등고선 곡률·간격으로 속도비를 구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A  ›  04 상층 대기: 지균/경도풍 구분 후 등고선 곡률·간격으로 속도비를 구한다 직선 등고선은 지균, 곡선은 경도풍으로 본다. 같은 φ에서 등치선 간격 비로 풍속비를, 곡률 반경/기압경도력으로 전향력 크기 비교를 수행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…

P파 속도 대비(3배): 경로길이/시간식을 연립해 거리·부등식을 판정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A  ›  03 P파 속도 대비(3배): 경로길이/시간식을 연립해 거리·부등식을 판정한다 층 X,Y에서 속도가 V,3V이므로 동일 시간식 t=Σ(ℓ_i/V_i)로 A,B의 이동거리 관계를 비교한다. 밀도 추정은 일반적으로 속도↑ 밀도↑ 경향을 단서로 판정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…

HI선 시선속도: v_los=v_rot cosθ 부호로 팔 위치와 속도를 역산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A  ›  02 HI선 시선속도: v_los=v_rot cosθ 부호로 팔 위치와 속도를 역산한다 표의 v×cosθ와 관측 v_los를 비교해 ㉠ 범위를 좁힌다. 반지름이 작을수록 회전속도 변화와 주기 관계를 판정하고 질량 분포 결론을 도출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…

에어리 vs 프래트: 두께/잠김비로 밀도·뿌리/높이 모델을 구분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Cluster(복합) │ 계산과 사고의 연결 A  ›  01 에어리 vs 프래트: 두께/잠김비로 밀도·뿌리/높이 모델을 구분한다 수면 아래/전체 두께 비가 큰 것은 낮은 밀도 또는 더 두꺼운 뿌리를 뜻한다. 표의 비율과 ‘설명 가능’ 목록에 맞춰 토막의 정체와 P값을 결정한다.…

춘분 하늘도: 적경·적위·새벽/저녁 조건으로 관측 시각과 황도/적도 구분한다

지구과학Ⅱ  ›  Time(시간) │ 속도가 답이다 B  ›  04 춘분 하늘도: 적경·적위·새벽/저녁 조건으로 관측 시각과 황도/적도 구분한다 춘분날은 태양 적경≈0h, 적위≈0°. 별 A,B의 위치와 ㉠ 곡선의 기울기/교차를 비교해 황도/적도를 식별한다. 새벽/저녁은 동서 방위와 고도로 판정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…

적위 고정 별: 위도·방위/고도표로 위치(경도차)와 시각 관계를 읽는다

지구과학Ⅱ  ›  Time(시간) │ 속도가 답이다 B  ›  03 적위 고정 별: 위도·방위/고도표로 위치(경도차)와 시각 관계를 읽는다 적위 +80° 별을 세 경위 조합으로 동시에 관측했을 때의 고도·방위 관계를 표에서 읽어 위도 배치와 경도 차(국지시–세계시)를 판정한다. 정석(derivation) 교과서적 절차와 공인 정리·공식을…